반응형

저는 코딩할 때 함수를 자주 쓰는 편인듯함니다.. 왜냐하면 약간 나눠져 있어서 보기가 편함.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임 이건 

이번에도 역시 출처는 

우리 학교 교수님 ppt 

교수님 진심으로 사랑합니다 오늘이 시험인 거 빼고요 

 

함수를 사용하는 이유

: 코드가 길어질 때 모듈화하여 간결성을 높이기 때문

 

모듈화 하였을 때 장점

1. 고치기 쉬움.

2. 운영과 관리를 용이하게 함.

3. 프로그램 가독성을 높여줌.

 

뭐 등등 이러한 이유로 쓴다고 합니다. 참고하시길 

그럼 이제 함수를 어떻게 정의하고 사용하는지 등등에 대해 알아보겠음욧

 

함수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 

내장 함수 / 사용자 정의 함수 

 

오늘 설명 할 건 사용자 정의 함수.

 

사용자 정의 함수가 뭐냐 말 그대로 사용자가 정의하는 함수, 즉 프로그래머가 만드는 함수에요 

그러니까 함수 이름과 내용을 마음대로 만들 수 있다는 소리 개꿀이죠?

 

사용자 정의 함수는 만드는 방법 

1. 함수의 기능을 정하고, 이름을 만든다. 

- 주로 함수의 이름은 기능과 관련한 이름으로 짓는 편이에요 그래야 나중에 코드를 볼 때 이해하기가 쉽기 때문...☆

2 함수의 입력과 결과가 무엇인지 정한다. 

3. 입력으로 사용하는 파라미터와 리턴 값의 데이터형을 정한다.

 

방금 읽은 걸 이해하셨나요? 못 이해하셔도 됩니다. 그게 아마 대부분이 그럴 거에요 (통계적인 수치는 모르구요 그냥 느낌상..ㅎ )

 

이제 진짜로 함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볼게요 

def plus(a, b):
	sum = a + b
    return sum
num1 = int(input("첫번째 정수를 입력하세요 : "))
num2 = int(input("두번째 정수를 입력하세요 : "))

print(num1, "+", num2, "=", plus(num1, num2))

먼저 def라는 걸로 정의한다고 알려줍니다. 그리고 나서 함수 명을 plus라고 달아주었어요. 

저기 보시면 a와 b가 있죠? 이게 파라미터라고 하는 겁니다. 이건 마음대로 정할 수 있어요 뭐 1개, 2개 상관없고 자료형을 무엇을 하던 상관이 없습니다. 다만 위에 print문에서 함수를 호출 할 때 위에 파라미터와 같은 자료형으로 넣어야 한다는 거죠. 만약 자료형을 다르게 넣는다면 실행이 안됨. 그리고 계산한 값을 리턴해줍니다. 그러니까 쉽게 봐서 plus(num1, num2) 은 sum과 같다는 소리죠.

 

우선... 설명은 여기까지인데 앞으로 보시는 대부분의 코드에 함수가 있을 겁니다. 그걸 참고 하시면 좋을듯요 

사실, 파이썬을 올리는 거 자체가 처음배우는 사람들에게 알려주는게 아니라 온전히 그냥 기록용이라서 ☆참고☆만 하시면 됩니다. 

 

그럼 봐주셔서 감사해요 20000 뿡~

진심

반응형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3 파이썬 모듈  (0) 2021.05.21
01 파이썬 리스트(list)  (0) 2021.05.20
00 파이썬 시작(기초 문법)  (0) 2021.05.19

+ Recent posts